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rightics Studio
- 브라이틱스 서포터즈
- 캐글
- 포스코 청년
- 추천시스템
- 혼공
- 직원 이직률
- Brigthics
- 혼공머신
- 모델링
- 삼성SDS Brightics
- 삼성SDS Brigthics
- 삼성 SDS Brigthics
- 개인 의료비 예측
- 브라이틱스
- 노코드AI
- 삼성 SDS
- 직원 이직여부
- 혼공머신러닝딥러닝
- Brightics
- 팀 분석
- Brightics를 이용한 분석
- 영상제작기
- Brigthics Studio
- 포스코 아카데미
- 삼성SDS
- 데이터분석
- 혼공학습단
- Brigthics를 이용한 분석
- 데이터 분석
- Today
- Total
데이터사이언스 기록기📚
[Tableau] 서울시 전체인구, 65세 이상 인구 지도시각화 본문
대한민국 행정동 경계 지도를 이용하여 서울시 전체인구와 65세 이상 인구 구성을 시각화를 진행 해봤습니다.
필요한 자료
1) 대한민국 행정동 경계 geojson
2) 서울시 전체 인구 및 65세 이상 인구
먼저, 행정동 경계는 다음 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vuski/admdongkor
GitHub - vuski/admdongkor: 대한민국 행정동 경계 파일
대한민국 행정동 경계 파일. Contribute to vuski/admdongko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github 주소로 들어가셔서 가장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전체 인구 및 65세 이상 인구는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행정구역별에서 서울시 전체 - 구별로 추출하고, 시점은 2021.07을 이용하였습니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conn_path=I2
KOSIS
kosis.kr
태블로를 열고 공간파일을 선택하셔서 다운로드한 파일을 열면 하단과 같이 뜨게됩니다.
저는 Adm Nm에서 '동' 칼럼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지정분할을 해서 분리시켜 줍니다.



사용자 지정 분할에서
구분 기호 사용은 ' ' , 분할해제는 전체를 선택하게되면
띄어쓰기 단위로 분할이 됩니다.

이름 바꾸기를 이용하여
칼럼의 이름을 정확히 알아보기위해 'Sidonm → 시' , 'Sggnm → 구'로 바꿔서 진행합니다.

연결 - [추가]를 눌러 [텍스트 파일]을 선택 후 '고령인구비율' 파일을 가져옵니다.

'HangJeongDong' 옆 빈 여백에 '고령인구비율_시도_시_군_구'를 드래그하여 필드를 연결합니다.
관계편집에서 '시 = 행정구역별(1)' , ' 구 = 행정구역별(2)'로 join 연결해줍니다.

시트로 넘어가서 기하도형을 세부정보로 드래그합니다.
세부정도로 드래그하면 자동으로 열과 행에 경도, 위도가 배치가 됩니다.

[시]를 필터로 드래그한 후 '서울특별시' 선택 확인


다음은 이중축을 만들어서 지도 위에 두가지 작업을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경도, 위도를 다음위치로 설정한 후
두번째 경도 아래쪽 끝 세모를 눌러 이중축을 선택합니다. 두번째 위도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저는 전체인구를 구별로 나타내고 싶어서 '전체인구'를 색상 구분, '구'를 레이블로 표현했습니다.

확실한 색깔을 구분하기 위해 [색상편집]에서 [단계별 색상]을 선택한다.



마크 경도 두번째는 [자동] → [원]으로 변경합니다.
구별로 65세 이상 인구를 알고싶어서 [크기]에 '65세 이상 인구', [세부정보]에 '구', [레이블]에 '65세 이상인구'를 두어 설정하였습니다.

색상이랑 크기가 눈에 띄지 않아 변경하려고합니다.
[색상] →[원 색상 바꾸기]에서 밝은 초록색을 선택해주고 [크기] →[마크 크기 범위] 키웁니다.

최종결과물입니다!
